모든 나르시시즘은...?
......백설공주 얘기 아시죠? 백설공주 얘기는 나르시시즘에 대한 메타포예요.
마녀는, 아니 그녀는 마녀가 아닐는지도 몰라요. 정말 예쁜 여자였을 수도 있죠.
그 여자의 겨울은 말을 하죠. 그건 거울이 아니었을 수도 있어요. 아마 남자 였을 수도 있을 거예요.
그다지 매력적이지는 않았을 거예요. 자아도취의 반영물이 꼭 매력 있을 필요는 없으니까...
여하튼 그 여자는 마법의 성에서 자신의 아름다움에 도취되어 살았죠.
거울아, 거울아, 누가 제일 예쁘니?
그런데 어느 날 백설공주가 나타난 거죠.
그녀가 하얗다는 걸 주목하세요.
... 그리고 일곱 난쟁이가 등장하죠.
난쟁이는 정말로 키가 작은 인간을 말하는게 아니고 평민 또는 도둑을 상징한다고 어느 서양 사람이 그러더군요.
중세의 종교화를 생각해봐요. 교황은 집채만하고 왕은 그 기둥만하고 제후는 그냥 사람만하죠.
그러나 평민이야 난쟁이가 될 수밖에......
여하튼 백설공주가 나타나자 마녀의 거울은 변했어요.
이제 백설공주가 더 예쁘다고 말하는 거죠. 역시 그 거울은 남자였을 가능성이 크죠?
나르시시즘의 충실한 반영물이 사라졌을 때, 인간들은 가장 흥분하죠.
회사가 도산했을 때, 사장들은 왜 자살하는 줄 아세요? 그 회사는 그의 자아의 확장물이기 때문이에요.
그 회사가 곧 자신의 이름이고 얼굴이고 가장 아름다운 마스크인데 그게 깨진 거죠.
그럴 때 사람들은 가장 큰 아픔을 맛보죠.
우리의 마녀도 예외는 아니었죠. 백설공주를 죽이기 위해 빨간 사과, 다시 색에 주의하세요. 그 사과를 먹게 만들죠.
하야안 공주가 빠알간 사과를 먹고 쓰러 지죠.
마녀가 공주를 죽이는 방법이 먹,이,는, 방식이라는 것도 중요해요. 성적인 뉘앙스를 풍기지 않나요?
광고에서 자주 쓰이는 빨간 사과, 이 섹슈얼한 상징물을 공주가 먹도록 만든다
- 하얀 공주에게 빨간 성을 집어넣어 파멸시킨다 - 재밌는 상징 아녜요?
그 마녀가 가지고 있지 못한 유일한 것 - 백설이 상징하는 순결성 아니겠어요?
그걸 파멸시킨 거죠.
그래서, 하고 싶은 얘기가 뭐야?
모든 나르시시즘은 파멸의 길로 간다는 거죠.
(김영하, 거울에 대한 명상, 호출, p316-317쪽)